초복 중복 말복, 즉 삼복은 보통 7월 초순에서 8월 중순에 오며 날씨가 가장 더운 때로 삼복더위라고도 합니다. 2023년 올해 초복 중복 말복의 날짜와 더위를 이기기 위해 먹는 음식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초복 중복 말복, 삼복이란?
4계절이 뚜렷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관습적으로 오래전 부터 이어져 온 절기인 삼복은 1년 중 가장 더운 시기이기도 한데요. 이때 더위를 잘 이기기 위해 보양식을 꼭 챙겨 먹는 등 우리나라 사람들이 특히 잘 챙기는 날이기도 합니다.
복날의 복(伏)자는 엎드릴 '복'자인데요, 더운 기운에 사람이 개처럼 엎드려 지내는 모습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복날의 첫번째 날은 초복, 두 번째 날은 중복, 세 번째 복날을 말복이라고 합니다. 보통 소서와 처서 사이에 삼복이 들게 되며 이 때는 폭염현상과 열대야 현상이 자주 나타나며, 삼복 기간 중 태풍이 북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023 초복 중복 말복 날짜는?
복날은 보통 열흘 간격으로 오게 되어 초복에서 말복까지 20일이 걸리게 됩니다. 그러나 해에 따라서는 중복과 말복의 사이가 20일이 걸리기도 합니다.
2023년의 초복 중복 말복의 날짜는
초복 2023. 7. 11. (화), 중복 2023. 7. 21. (금), 말복은 2023.8. 10.(목)입니다.
삼복의 기간 중 7월 23일엔 대서, 8월 8일엔 입추가 있습니다.
삼복의 풍습과 먹는 음식
오래전에는 복날에 시내나 강에서 목욕을 하면 몸이 여윈다는 속설이 있어 아무리 더워도 복날에 목욕을 하지 않거나, 초복에 목욕을 했으면 복날마다 꼭 목욕을 해야 몸이 여위지 않는다고 믿어 중복과 말복에도 목욕을 해야 했다고 합니다.
특히 복날에는 몸을 보해야 한다고 생각해 특별한 음식을 해먹기도 했습니다. 과거에 우리나라는 개장국을 만들어 먹거나 팥죽을 쑤어 먹었고 수박과 참외를 먹었습니다. 요즘은 삼계탕을 많이 먹는데요. 뜨거운 음식을 먹는 이유는 몸 밖이 더운데 몸 안에 차가운 음식을 먹게 되면 위장 기능이 약해지기 쉬워서라고 합니다. 열을 내는데 도움이 되는 닭과 인삼 등을 먹으면 위장에 따뜻한 기운이 들어 지친 몸의 회복에 좋기 때문입니다.
최근에는 꼭 삼계탕이 아니더라도 장어나 추어탕, 전복죽 등 다양한 보양식을 많이 먹기도 하며, 오히려 더운 음식보다 냉면처럼 시원한 음식을 먹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 같은 닭이라서 인지 치킨을 사서 먹는 분들도 꽤 많다고 하네요.
지금까지 2023년 초복 중복 말복 날짜와 복날의 의미 그리고 풍습과 먹는 음식까지 알아봤습니다. 사실 요즘은 먹을게 늘 풍족하고 냉방 시설도 좋아져 딱히 복날에 보양식을 꼭 챙겨 먹어야 할 필요는 없기도 합니다. 그래도 복날에 몸에 좋은 음식을 찾아서 먹는 것은 더위를 잘 극복하기 위한 아주 사소한 노력이 아닐까 합니다. 모쪼록 올여름도 모두들 건강히 탈없이 잘 나시길 바라봅니다.
모기 안 물리는 법(살충제 NO 모기 퇴치, 모기 쫓는 법)
여름이면 찾아오는 정말 반갑지 않은 손님이 있습니다. 바로 모기인데요. 사실 요즘은 지구온난화의 영향인지 봄부터 모기가 나타나서 가을 추위까지 견뎌내는 끈질긴 생명력으로 우리를 불편
pink05.tistory.com
혜택 늘어난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신청과 사용법
알뜰교통카드는 교통비를 줄이고 건강과 환경에도 도움을 준다는 취지로 만들어진 마일리지 적립식 교통카드입니다. 대중교통 활성화를 유도하고 서민의 교통비 절감에도 도움을 주는 알뜰교
pink05.tistory.com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연금 중도 인출 가능한 경우 알아보기 (0) | 2023.07.12 |
---|---|
퇴직 연금 디폴트 옵션 자세히 알아보기 (0) | 2023.07.07 |
혜택 늘어난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신청과 사용법 (0) | 2023.07.02 |
기초 연금과 국민 연금 비교해서 알아보기 (0) | 2023.06.23 |
환율이란? 환전 시 수수료 아끼는 꿀팁 (0) | 2023.06.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