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브 식물인 밀크시슬의 이름을 딴 간 건강 영양제가 시중에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식물 밀크시슬이 그 원료이기 때문인데요. 간 건강에 도움이 되는 영양제의 원료인 밀크시슬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밀크시슬이란?
'밀크씨슬', '밀크티슬', '서양 엉겅퀴', '흰무늬엉겅퀴'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밀크시슬은 국화과 두해살이식물로 남유럽과 북아프리카 일대가 원산지입니다.

2천년 전 고대 그리스에서도 간 질환을 치료하고 독소로부터 간을 보호하는 데 이 밀크시슬의 잎이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밀크시슬의 씨와 열매에는 실리마린이라고 하는 성분이 들어있는데요. 이 실리마린 성분이 간세포의 막을 보호하고 간의 기능을 좋게 하며 독소로 인한 간 손상을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식품의약품안전처에도 흰 무늬엉겅퀴는 식품원료로 사용이 가능한 식물로 등재되어 있다고 합니다.

밀크시슬의 이용 및 효과
밀크시슬은 잎, 줄기, 뿌리, 씨앗 등 모든 부분을 식용할 수 있는데요.
씨앗과 잎은 출산 후 모유가 부족하거나, 기침이 날 때 등에 효과가 있고 소화에도 도움을 주며, 간이나 쓸개, 비장의 이상이 있을 때에도 사용됩니다.
특히 씨앗 속의 실리마린 성분이 수많은 독소들로 부터 간을 보호하는 것으로 밝혀져 간 건강 영양제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도 밀크시슬의 열매가는 열을 내리고 간을 진정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간 보호작용 외에도 실리마린 성분은 항산화 작용, 혈당 강하 작용, 항고지혈증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밀크시슬 영양제 고르는 법과 주의사항(부작용)
밀크시슬을 식물 자체로 섭취하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겁니다. 밀크시슬의 효능을 확인하고 시중에 나와있는 영양제 제품을 구매해서 먹게 되는데요.

밀크시슬 영양제를 고를때는 몇 가지 주의가 필요합니다.
먼저 실리마린의 함량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실리마린의 함량이 130mg 이상일 때 기능이 인정된다고 합니다.
밀크시슬에 농약 등 화학 부형제 성분이 없는 유기농 제품을 통해 추출되었는 지 확인해봐야 합니다.
또한 약을 제조할 때도 다른 부형제 사용이 없이 만들어졌는 지도 중요한데요. 화학 부형제들을 오랫동안 복용할 경우 오히려 간에 무리가 갈 수도 있고, 가슴 통증이나 장기 손상 등 부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카렌듈라(금잔화)'의 모든 것(오일, 효능, 활용 법 등)
'금빛 술잔을 닮은 꽃'이라는 뜻의 '금잔화'로도 불리는 카렌듈라는 비탄, 실망, 비애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는 허브인데요. 여러 가지 효능이 있지만 피부에 좋은 효능이 탁월해 화장품의 고급
pink05.tistory.com
먹는 꽃 '한련화'의 모든 것(특징, 키우는 법, 영양 등)
차로 마시거나 샐러드 등에 올려 보는 맛까지 높여주는 식용 꽃 한련화. 관상용으로만 심어지던 이 식물이 최근 들어 허브식물로 각광받고 있는데요. 한련화에 대해서 자세히 정리해 보겠습니
pink05.tistory.com
'허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먹는 꽃 '한련화'의 모든 것(특징, 키우는 법, 영양 등) (0) | 2023.04.17 |
---|---|
향신료 '쿠민(쯔란)'이란? (0) | 2023.02.24 |
'카렌듈라(금잔화)'의 모든 것(오일, 효능, 활용 법 등) (0) | 2023.02.14 |
연어 요리에 딱, 향신료 '케이퍼'의 효능 (0) | 2023.01.12 |
생소하지만 궁금한 '몰약'의 모든 것 (1) | 2022.1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