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모기 퇴치제 사용 주의사항

by 러블리제이제이 2023. 6. 9.

여름이면 나타나 우리를 괴롭히는 모기를 쫓고 없애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모기퇴치제품을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모기퇴치제로 모기를 쫓으려다 오히려 우리 사람의 건강에 나쁜 영향이 미칠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모기퇴치제 사용 시 주의할 사항들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모기 퇴치제 사용 주의사항

 

 

 

모기 안 물리는 법(살충제 NO 모기 퇴치, 모기 쫓는 법)

여름이면 찾아오는 정말 반갑지 않은 손님이 있습니다. 바로 모기인데요. 사실 요즘은 지구온난화의 영향인지 봄부터 모기가 나타나서 가을 추위까지 견뎌내는 끈질긴 생명력으로 우리를 불편

pink05.tistory.com

 

 

모기퇴치제 종류

 

모기퇴치제는 뿌리는 에어로졸(스프레이)형태와 전기훈증되는 매트와 액체전자 모기향, 그리고 불을 붙여 연기가 나게 하는 모기향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이들 대부분은 곤충들의 신경계를 마비시켜 죽게 만드는 성분인 프랄레트린, 알레트린 등 국화과 식물인 제충국에서 얻어지는 성분들이 들어있습니다.

 

모기 퇴치제 사용 주의사항

 

 

또한 모기 기피효과와 안정성이 확인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의약외품'허가를 얻은 모기기피제가 있습니다. 모기기피제는 모기를 직접 죽이지는 않지만 모기가 싫어하는 성분을 이용해 모기가 우리 몸으로 접근하지 못하게 합니다.

 

모기 퇴치제 사용 주의사항

 

 

사용 시 주의 사항

 

모기향

 

코일선단에 불을 붙여 사용하는 모기향의 경우 타면서 해로운 성분이 발생되므로 밀폐된 공간이 아닌 환기가 잘되는 곳에서 사용해야 합니다. 근처에 불에 타기 쉬운 인화성물질이 있지 않은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모기향은 매우 높은 온도에서 타고 있으므로 성인과 어린이 모두 직접 만지지 않아야 합니다.

 

모기향은 고온 다습한 곳을 피해 보관합니다.

 

에어로졸(스프레이)

 

스프레이 형태이 에어로졸 제품은 액화석유가스가 들어있어 불꽃을 향해 분사하거나 난로 등 화기 근처에서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또한 사람을 향해 직접 분사해서도 안되며, 나오는 기체를 흡입하지 않아야 합니다.

사람이 없는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하고 나중에 반드시 환기시켜야 안전합니다.

피부나 식기 등에 닿지 않게 사용해야 하며 혹시 닿았을 경우 즉시 비눗물을 이용해 씻어내야 합니다.

 

스프레이형태의 모기퇴치제는 밀폐되고 높은 온도의 장소에서는 폭발할 수 있어 보관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기훈증 매트/액상 전자모기향

 

전기훈증 형 전자모기향의 경우에도 환기를 시키며 사용해야 하며,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 시 재채기, 두통, 구역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사용 후에는 반드시 전원을 꺼야 하고  작동 중인 전자모기향의열판의 온도가 150도 이상이므로 작동중인 경우 열판을 만지지 말아야 합니다. 

전기훈증기와의 거리가 2미터 이내일 경우에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므로 2미터 이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불 등에 기기가 덮이거나 거꾸로 놓고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모기기피제

 

팔과 다리 등 피부나 옷에 뿌려 사용하는 모기기피제는 눈이나 입 주변 등과 상처가 있거나 햇볕에 많이 탄 피부와 속옷에는 닿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부작용의 우려가 있어 용법과 용량을 반드시 지켜 사용해야 하며 알레르기 증상이나 과민반응 시 바로 사용ㅇ르 중단합니다.

분사형의 경우 20cm 정도의 거리를 두고 분사하며, 밀폐된 공간에서는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사용 후에는 몸은 비누로 씻고 옷은 세탁합니다.

 

모기 퇴치제 사용 주의사항

 

지금까지 모기퇴치(기피) 제 사용 시 주의사항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생활에 꼭 필요한 제품인 만큼 주의사항을 잘 지켜 사용해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안전하게 사용해야겠습니다.

 

 

 

출처:식약청

 

 

 

 

모기 안 물리는 법(살충제 NO 모기 퇴치, 모기 쫓는 법)

여름이면 찾아오는 정말 반갑지 않은 손님이 있습니다. 바로 모기인데요. 사실 요즘은 지구온난화의 영향인지 봄부터 모기가 나타나서 가을 추위까지 견뎌내는 끈질긴 생명력으로 우리를 불편

pink05.tistory.com

댓글